관리 메뉴

공부기록용

HTTP_요청 메소드 POST와 GET의 차이 본문

💡깨달음💡/HTTP

HTTP_요청 메소드 POST와 GET의 차이

과부하가즈아 2023. 7. 2. 18:34

HTTP 메세지

> HTTP 요청 메세지

> HTTP 응답 메세지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 HTML, TEXT
  • IMAGE, 음성, 영상, 파일
  • JSON, XML
  •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시작라인

요청 메시지

start-line = request-line / status-line

request-line = method SP(공백) request-target SP HTTP-version CRLF(엔터)
  • HTTP 메서드 (GET: 조회)
  • 요청 대상 (/search?q=hello&hl=ko)
  • HTTP Version

💫요청 메시지 - HTTP 메서드

  • 종류: GET, POST, PUT, DELETE...
  • 서버가 수행해야 할 동작 지정
  • GET: 리소스 조회 /  POST: 요청 내역 처리

요청 메시지 - 요청 대상

  • absolute-path[?query] (절대경로[?쿼리])
  • 절대경로= "/" 로 시작하는 경로
  • 참고: *, http://...?x=y 와 같이 다른 유형의 경로지정 방법도 있다

요청 메시지 - HTTP 버전

  • HTTP Version

HTTP 헤더

  • header-field = field-name ":" OWS field-value OWS (OWS:띄어쓰기 허용)
  • field-name은 대소문자 구문 없음

요청의 헤더

 

용도

  •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ex. 메시지 바디의 내용, 메시지 바디의 크기, 압축, 인증, 요청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정보, 서버 애플리케이션 정보, 캐시 관리 정보... 등 필요한 정보는 거의 있다고 보면 됨)
  • 표준 헤더가 너무 많음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TTP_header_fields
  • 필요시 임의의 헤더 추가 가능 (helloworld: hihi)

HTTP 메시지 바디

  • 실제 전송할 데이터
  • HTML 문서, 이미지, 영상, JSON 등등 byte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전송 가능

HTTP 메소드

API URI 설계 시,

리소스 식별, URI 계층 구조 활용 URI는 리소스만 식별 리소스와 해당 리소스를 대상으로 하는 행위을 분리, 리소스는 명사, 행위는 동사 

HTTP 메소드 종류

  • GET: 리소스 조회
  • POST: 요청 데이터 처리, 주로 등록에 사용
  • PUT: 리소스를 대체,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 PATCH: 리소스 부분 변경
  • DELETE: 리소스 삭제
  • HEAD: GET과 동일하지만 메시지 부분을 제외하고, 상태 줄과 헤더만 반환
  • OPTIONS: 대상 리소스에 대한 통신 가능 옵션(메서드)을 설명(주로 CORS에서 사용)
  • CONNECT: 대상 리소스로 식별되는 서버에 대한 터널을 설정
  • TRACE: 대상 리소스에 대한 경로를 따라 메시지 루프백 테스트를 수행

GET

  • 리소스 조회(데이터를 읽거나(Read), 검색(Retrieve)할 때에 사용)
  • 오로지 데이터를 읽을 때만 사용되고 수정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 이런 이유로 사용하면 안전하다고 간주되죠. 즉, 데이터의 변형의 위험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뜻
    • GET 요청은 중요한 정보를 다루면 안된다. (보안)
      • 파라미터에 내용이 노출되기 때문에 민감한 데이터를 다룰 때 GET 요청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 GET 요청은 길이 제한이 있다.
  • GET 요청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는다.
  • GET 요청을 북마크에 추가할 수 있다.
  • 메시지 바디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지만, 지원하지 않는 곳이 많아서 권장하지 않는다.
  • 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는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어 전송되고 이 부분을 query(쿼리 파라미터, 쿼리 스트링)이라고 한다.
  • GET은 불필요한 요청을 제한하기 위해 요청이 캐시될 수 있다.
    •  js, css, 이미지 같은 정적 컨텐츠는 데이터양이 크고, 변경될 일이 적어서 반복해서 동일한 요청을 보낼 필요가 없다. 정적 컨텐츠를 요청하고 나면 브라우저에서는 요청을 캐시해두고, 동일한 요청이 발생할 때 서버로 요청을 보내지 않고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그래서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다보면 정적 컨텐츠가 캐시돼 컨텐츠를 변경해도 내용이 바뀌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때는 브라우저의 캐시를 지워주면 다시 컨텐츠를 조회하기 위해 서버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F12누르고 새로고침 오른쪽 누르는 거)
    • GET을 통해 서버에 리소스를 요청할 때 웹 캐시가 요청을 가로채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다시 다운로드하는 대신 리소스의 복사본을 반환한다. HTTP 헤더에서 cache-control 헤더를 통해 캐시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www.example-url.com/resources?name1=아무개&name2=곽철용

쿼리스트링을 포함한 URL입니다. 파라미터인 name1과 name2를 통해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만약, 요청 파라미터가 여러 개이면 &로 연결한다.


query
: 문의하다, 질문하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리고 프로그래밍에서 이러한 문의는 요청, 즉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일'을 말한다. 그렇게 때문에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query를 보내면 이에 따른 정보를 DB로부터 가져온다.

DB용 언어를 SQL이라고 하는데, DB에서 query는 원하는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SQL 문장의 집합을 말하며, 질의문이라 한다.

DB서버가 구동이 되고 있는 환경에서(Oracle, Cubrid, MsServer, MySQL, Tibero, Altibase 등) DB에 대해 명령문을 작업하게 되는데 이 때의 명령문을 쿼리(Query)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URL 파라미터(쿼리 파라미터)
: 파라미터는 번역하면 '매개변수'라고 불린다. IT업계에서는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상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며,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데이터’라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파라미터는 쿼리 스트링이라고도 하며, 정보에 따라서 페이지의 콘텐츠가 가변적일 수 있을 때 많이 사용한다.

URL파라미터란 위 URL 중에서 물음표 ‘?’ 이후 문자열을 뜻한다.

URL 파라미터는 ‘웹 서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파라미터 명]=[파라미터 값]이 한 세트로 작동하고, 파라미터가 여러 개 일 때는 마찬가지로 위에 빨갛게 마킹해 둔 것처럼 ‘&’로 이어줍니다.

POST

  • 리소스를 생성/업데이트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됩니다.
    • GET과 달리 전송해야될 데이터를 HTTP 메세지의 Body에 담아서 전송한다. 
    • 메시지 바디를 통해 서버로 요청 데이터 전달해서 서버는 요청 데이터를 처리한다.
    • 메시지 바디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 주로 전달된 데이터로 신규 리소스 등록, 프로세스 처리에 사용
    • 그 Body의 타입은 요청 헤더의 Content-Type에 요청 데이터의 타입을 표시 따라 결정 된다.
      • Content-Type의 종류로는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text/plain, multipart/form-data 등이 있다
      • 데이터 타입을 표시하지 않으면 서버는 내용이나 URL에 포함된 리소스의 확장자명 등으로 데이터 타입을 유추한다.
      • 만약, 알 수 없는 경우에는 application/octet-stream로 요청을 처리한다.
    • POST는 데이터가 Body로 전송되고 내용이 눈에 보이지 않아 GET보다 보안적인 면에서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POST 요청도 크롬 개발자 도구, Fiddler와 같은 툴로 요청 내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반드시 암호화해 전송해야 한다.
  • POST 요청에는 데이터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다.
    •  POST 요청은 GET과 달리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POST 요청은 브라우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는다.
  • POST 요청을 북마크에 추가할 수 없다.
  • POST 요청은 캐시되지 않는다.
  • URI에 POST 요청이 오면 요청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 리소스마다 따로 정해야 한다.(정해진 것이 없음)

  • 주로 새 리소스 생성(등록) : 서버가 아직 식별하지 않은 새 리소스 생성
  • 요청 데이터 처리 : 단순히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넘어서 프로세스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 / POST의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음
  • 다른 메서드로 처리하기 애매한 경우 (ex. JSON으로 조회 데이터를 넘겨야 하는데, GET 메서드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GET 과 POST 의 차이점 

  • 사용목적 : GET은 서버의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요청할 때, POST는 서버의 리소스를 새로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한다.
  • 요청에 body 유무 : GET 은 URL 파라미터에 요청하는 데이터를 담아 보내기 때문에 HTTP 메시지에 body가 없다. POST 는 body 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기 때문에 당연히 HTTP 메시지에 body가 존재한다.
  • 멱등성 (idempotent) : GET 요청은 멱등이며, POST는 멱등이 아니다.
멱등이란?

멱등의 사전적 정의는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GET은 리소스를 조회한다는 점에서 여러 번 요청하더라도 응답이 똑같을 것 이다. 반대로 POST는 리소스를 새로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되기 때문에 멱등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POST 요청이 발생하면 서버가 변경될 수 있다.)

 

'💡깨달음💡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_HTTP와 HTTPS의 차이  (0) 2023.06.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