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gitignore)
참고 : https://www.youtube.com/@uknowcoding
유노코딩
강의/집필/기타 협업 문의 beansdrawer@naver.com 기업 및 기관 출강 가능합니다. 웹 프론트엔드(HTML, CSS, JavaScript, React)/파이썬/C언어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블록코딩/로봇코딩 강의도 진행합니다-! 문
www.youtube.com
.gitignore
GIT 프로젝트 내 문서 중 수정 이력에서 제외하고 싶은 문서가 있다면 이를 추적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시킬 수 있다. .gitignore는 이때 사용되는 git 설정 파일이다. gitignore는 처음부터 존재하는 파일이 아니므로 직접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 시스템 명령어 touch를 사용하면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git에게는 공유하고 싶지 secret 파일을 생성한 후 내용을 작성한 뒤 상태를 확인한다.
변경되었지만 스테이징, 커밋되지 않은 파일이 있다고 출력된다.
이 파일을 깃과 공유하고 싶지 않을 경우 시스템 명령어 touch를 통해 .gitignore를 생성한다.
$ touch .gitignore
숨겨진 파일까지 확인을 해보면 .gitignore가 생성된걸 볼 수 있다.
이 .gitignore에 git에 의해 감지되지 않았으면 하는 파일을 작성해준다.
이때 .gitignore파일은 원하는 편집기로 작동시켜서 감지되지 않았으면 하는 파일을 작성해주거나
nano라는 시스템 명령어를 통해 .gitignore파일을 열어주고
$ nano [파일이름]
다음과 같은 편집기가 나오면
감지되지 않았으면 하는 파일을 작성하고
ctrl + x
y_누르면 쓸 파일의 이름이 나오고(현재는 그대로 gitignore) enter
gitignore에 잘 저장된걸 확인 할 수 있다.
상태를 다시 확인해보면
생성후 내용이 추가되었던 secert.txt파일이 없어지고 만들어진 .gitignore만이 감지걸 볼 수 있다.
이 .gitignore는 커밋을 통해 파일을 올려주어야 한다.
$ git add .gitignore
$ git commit -m "add .gitignore"
git log를 통해 commit을 확인
gitignore에 secret.txt를 넣어 두었기 때문에 이제 secret의 내용에 변화가 있어도 변화된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