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공부기록용

CSS 기초 03(속성정리03_Box관련속성) 본문

📚강의록📚/유노코딩)CSS

CSS 기초 03(속성정리03_Box관련속성)

과부하가즈아 2023. 4. 14. 15:53

🔴박스모델

🔻요소의 여백 지정하기(padding & margin)

🔻박스크기(box-sizing)

🔻박스의 배경(background)


박스모델(Box-Model)

  • 브라우저가 요소를 렌더링 할 때, 각각의 요소는 기본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이 영역을 '박스'라고 표현하며, CSS는 박스의 크기, 위치, 속성(색, 배경, 테두리 모양 등등)을 결정할 수 있다.
  • 하나의 박스는 네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 콘텐츠 영역 : width, height
    • 안쪽 여백 : padding
    • 경계선(테두리) : border-width
    • 바깥쪽 여백 : margin

+블록요소는 4개의 영역을 모두 가질수 있지만, 인라인 요소는 콘텐츠 영역은 지정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display속성의 inline-block 속성값을 지정해 인라인요소를 블록요소로 변경해주면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정의할수 있다.

 

▶내용실습◀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 문서</title>
    <style>
      div{

        border: 3px solid red;       ---> 경계선(테두리)의 3px의 두께, 직선의 red로 지정
        padding: 10px;               ---> 안쪽 여백의 두께를 10px로 지정
        margin: 20px;                ---> 바깥쪽 여백의 두께를 20px로 지정
        width: 90px; height: 35px;   --->'요소의 콘텐츠'가 작성된 곳(콘텐츠)영역의 너비(width)와 높이(height)를 지정

      }
    </style>

  </head>
  <body>

  <div>요소의 콘텐츠</div>
  <span>check</span>
  
  </body>
</html>


요소의 여백 지정하기(padding & margin)

여백은 상-하-좌-우 네 개의 면에 존재하는 영역으로 각 면에 개별적으로 두께를 지정할 수 있다.

  • 하위 속성 정의하기: 상-하-좌-우 모두 개별적으로 두께를 지정하겠다는 의미로
    • paddig/margin-top
    • paddig/margin-right
    • paddig/margin-bottom
    • paddig/margin-left 로 나누어 개별적으로 지정이 가능
  • 여러 값을 한 번에 정의하기 : padding과 margin은 네 면의 여백에 대한 단축속성이다.(위부터 시계방향)
span{
 dispaly: inline-block;
 width: 100px; heigth: 100px;
 padding/magrgin: 10px 20px 30px 40px;  ---> '위쪽-오른쪽-아래쪽-왼쪽'의 순서로
}

박스크기(box-sizing)

※박스 모델의 네가지 영역 중 콘텐츠영역, 안쪽 여백, 테두리까지가 실제 요소의 크기역할을 하며, 바깥쪽 여백은 요소와 요소사이의 간격을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 box-sizing 속성은 요소의 너비(width)와 높이(height)를 계산하는 방법을 지정한다.

  • content-box (콘텐츠 박스의 크기만)
    : 기본값, 너비와 높이가 콘텐츠 영역만을 포함한다.
  • border-box (콘텐츠박스+안쪽 여백+테두리의 합의 크기)
    : 너비와 높이가 안쪽 여백과 테두리까지 포함한다.(너비와 높이가 같더라도, box-sizing 속성값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박스의 배경(background)

배경은 콘텐츠의 배경을 정의한다. 단축 속성으로써 색상, 이미지, 반복 등 다양한 하위 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

 

  • background-color
    : 배경 색을 정의한다.
  • background-image
    : 배경 이미지를 정의한다.
    background-image: url(주소);
  • background-position
    : 배경 이미지의 초기 위치를 정의한다. left, bottom, right, top, center을 섞어서 지정할 수 있다.(ex. center, top, left bottom, right top 등등)
    background-position: center;
  • background-size
    : 배경 이미지의 크기를 정의한다.
    background-size: 100px 50px; -> 너비 높이의 순으로 나타남
    background-size: cover; -> 이미지의 비율을 바뀌지 않는 최대 크기의 사이즈를 의미(잘릴 수 있음)
    background-size: cotain; ->이미지의 비율이 바뀌지 않고 찌그러지거나 잘리는것 없는 한도에서의 최대 사이즈를 의미
  • background-repeat
    : 배경 이미지의 반복 방법을 정의한다. 기본적으로 설정한 박스보다 작을때 사용하는데 기본값은 'repeat'이고 반복을 원하지 않을때는 'no-repeat'로 지정해주면 된다.
    background-repeat: repeat;
    background-repeat: no-repeat;

 

출처 : @https://www.youtube.com/@uknowco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