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공부기록용

Javascript 기초 05(조건문) 본문

📚강의록📚/유노코딩)Javascript

Javascript 기초 05(조건문)

과부하가즈아 2023. 4. 21. 16:02

조건문(제어문)

조건문이란 주어진 조건의 참, 거짓 여부에 따라 프로그램의 흐름을 결정할 수 있는 구문을 뜻한다. (여기서 조건이란, boolean 데이터로 해석할 수 있는 표현식을 의미한다.)

ex. 게임 캐릭터의 HP가 0입니까?_true일 경우 캐릭터가 죽는다.

 

조건문(은 아무리 길어도) 하나의 구문일 뿐! 조건문의 실행을 마치고 나면 코드 진행 흐름은 이어지는 다음 구문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한다.

If문

키워드 if 를 이용해 만드는 구문 'if문'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조건문이다.

if(조건){
 // 조건이 true일 때 실행할 코드
 }
let number = 3
if(number === 3){
 console.log("It is true!")
}
 
 // 변수 number의 값이 3과 같다면 console에 "It is true!"를 출력, 같지 않다면 아무런 결과도 나오지 않음

 

 

else, else if문

if 는 조건이 참일 때 할 일을 정의하는 구문을 만든다. 원한다면 사용자는 else를 추가하여 조건이 거짓일 때의 할일을 추가 정의할 수 있다. (독립적인 else문은 만들 수 없다.)

if(조건){
 // 조건이 true일 때 실행할 코드
}else{
  // 조건이 flase일 때 실행할 코드
}
let number = 3
if(number === 3){
 console.log("It is true!")
}else{
 console.log("It is false!")
}

// 변수 number의 값이 3과 같다면 console에 "It is true!"를 출력,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console에 It is false!을 출력

else if 를 활용하면 보다 더 많은 조건을 판단하고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const shoesPrice = 50000
if (shoesPrice < 40000) { 
	console.log('신발을 사겠습니다.')
} else if (shoesPrice <= 50000) {
	console.log('고민을 해볼게요...')  // 신발 가격이 50000원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않으므로 해당 코드가 실행됨
} else {
	console.log('너무 비싸요. 신발을 사지 않겠습니다.')
}

 

▶내용실습◀

let number = 3
if(number == 3){
    console.log("조건으로 사용된 비교연산식이 참을 반환했다!")
}


let number = 3
if(number == 5){
    console.log("조건으로 사용된 비교연산식이 참을 반환했다!")
}else{
    console.log("이번엔 거짓인가 봐~!")
}


let number = 3

if(number == 5){
    console.log("조건으로 사용된 비교연산식이 참을 반환했다!")
}else{
    console.log("이번엔 거짓인가 봐~!")
}

console.log("독립적으로 사용된 콘솔로그")

document.querySelector("none")

let hello = "hello"

console.log(hello)       /// 총 6개의 구문이다.

 

 

▶예제◀

거리를 의미하는 변수를 선언하고 원하는 숫자값 (단위는 km라고 가정) 을 할당, 2km 미만이면 "걸아가자"를, 2km 이상이고 5km 미만이면 "택시를 타자"를, 그 외에는 "기차를 타자"를 출력

// my answer

const meter = km 

if (meter < 2km){
    console.log("걸어가자")
} else if (2km <= meter < 5km){
    console.log("택시를 타자")
} else {
    console.log("기차를 타자")
}

&&(and)

// 정답

const distance = 2                         // 단위는 따로 지정x

if (distance < 2) {
	console.log("걸어가자")
} else if (distance >= 2 && distance < 5) { // 논리연산자를 && 를 이렇게 활용, 이상과 미만을 끊어서 나타냄
	console.log("택시를 타자")
} else {
	console.log("기차를 타자")
}

// 결과 : distance가 2이므로 택시를 타자가 출력됨

distance >= 2 && distance < 5

->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다면 distance값이 2보다 크거나 같을 때의 true, false값 그리고 distance값이 5보다 작을 때의 true, false값을 각각 봐서 둘다 true true 여야 true로 그 값을 출력 하나라도 false면 false가 출력됨

 

 

출처 : https://www.youtube.com/@uknowcoding

Comments